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console.log("daily coding")

리눅스 부트 매니저 내용 본문

false의 잡학다식/리눅스 공부 관련

리눅스 부트 매니저 내용

LeeFalse 2021. 5. 13. 16:59

  부트로더

 

   1) 디스크나 플래시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읽어 주기억장치에 적재해 주는 프로그램

   2) 운영 체제가 시동되기 전에 미리 실행

   3) 임베디드 시스템 부트로더 : PC의 BIOS와 OS Loader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, 시스템이 부팅할 때 가장 먼저 수행

   4) 부트 매니저라고도 부름

   5) 크기가 512바이트로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섹터인 MBR(Master Boot Record)에 위치

       - MBR :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과 파티션 정보 저장

   6) 한 컴퓨터에 다수의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, 작업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음

   7) x86  아키텍처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트로더 

       - LILO

       - GRUB

         * 다른 운영체제와 멀티 부팅 가능

         * 대화형 설정이므로 커널의 경로와 파일 이름만 알면 부팅 가능

         * 커널 위치와 커널 이미지 파일명만 알고 있으면 부팅 가능

         * 환경 설정 파일

구분 GRUB 1 GRUB 2
설정 파일 /boot/grub/menu.lst /boot/grub2/grub.cfg
파티션 첫 번째 파티션 0부터 시작 첫 번째 파티션 1부터 시작
root 파티션 지정 방법 root (hd0,0) set root=(hd0,msdos1)
커널 이미지 설정 옵션 kernel=옵션으로 커널 이미지 명시 linux=옵션으로 커널 이미지 명시

 GRUB 1 (Legacy)

  가. 환경설정 파일 : /boot/grub/grub.conf

  나. 링크 파일 : /etc/grub.conf

 

root(hd0,0) * root  파티션의 위치를 지정
* (hd0,0) : primary master의 첫 번째 파티션을 의미
kernel/boot/vmlinuz * 부팅하면서 메모리에 위치하는 리눅스 커널에 전달할 인수를 지정하는 옵션
* /boot 파티션을 별도로 사용하고 있으면 커널의 위치는 kernel/boot/vm
initrd/boot/initrd * 이미지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옵션

 

GRUB 2

  가. 환경설정 파일 : /boot/grub2/grub.cfg (읽기 전용)

  나. 링크 파일 : /etc/grub2.cfg 

  다. 파일 /etc/default/grub/etc/grub.d를 통해 grub 환경 설정

  라. 명령어 grub2-mkconfig를 설정 내용 적용

 

 

/etc/default/grub

GRUB_TIMEOUT : 자동 부팅 시간 설정 (초 단위)
GRUB_DISTRIBUTOR : 부팅 화면의 각 엔트리 앞에 명시되는 이름 지정
GRUB_DEFAULT : GRUB 2의 기본 부트 엔트리 지정 시 사용
GRUB_DISABLE_SUBMENU : 서브 메뉴 사용 여부 설정
GRUB_TERMINAL_OUTPUT : GRUB 표시 방법을 명시 
GRUB_CMDLINE_LINUX : 부팅 시 커널에 전달할 파라미터 지정
GRUB_DISABLE_RECOVERY : Recovery mode 화면 명시 유무 표시

 GRUB 2 작업 모드

   * grub 2 명령 모드 : 초기화면에서 c

   * grub 2 편집 모드 : 초기화면에서 e


 RUN LEVEL

 

 * 설정 파일 : /etc/inittab

 * 현재 실행되는 런레벨 확인 : $ runlevel

Run Level 기능
0  - 시스템 종료(shutdown)
 - 명령어 halt 또는 init 0 과 동일
1  - 단일 사용자 모드 (root만 로그인 할 수 있는 모드)
 - 네트워크, 서버, 파일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
 - root 패스워드 분실,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, 시스템 점검을 할 때 접근
2 네트워크가 없는 다중 사용자 모드
3 텍스트 모드(CUI)에 의한 다중 사용자 모드
4 미사용
5 그래픽 모드(GUI)에 의한 다중 사용자 모드
6  - 시스템 재부팅
 - 명령어 reboot 또는 init 6 와 동일

 

 로그인/로그아웃

  

  가. 리눅스는 X-window 상의 로그인/로그아웃 과 Console 상의 로그인/로그아웃

 

파일 특징 상태
/etc/issue console(로컬) 접속 시 보여줄 메시지 파일 로그인 전
/etc/issue.net 원격지에서 접속 시 보여줄 메시지 파일 로그인 전
/etc/motd 로컬 접속, 원 격 접속 모두에 해당하며, 로그인 성공 후 보여줄 메시지 파일 로그인 후

 


○ 내용 참고

 - 이기적 리눅스 마스터 2급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