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console.log("daily coding")

리눅스 설치 및 파티션 내용 본문

false의 잡학다식/리눅스 공부 관련

리눅스 설치 및 파티션 내용

LeeFalse 2021. 5. 10. 18:20

리눅스 설치 유형

 

 1) Minimal : 리눅스 설치 시 필수 패키지만 설치

 2) 데스크톱 : 개인용 컴퓨터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

 3) 서버 

    - 하드디스크의 모든 파티션을 삭제하고 서버 운영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

    - basic 서버 : 리눅스 서버의 필수 기본 패키지 설치

    - database 서버 :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

    - web 서버 : 아파치 웹 서버 관련 패키지 설치

 4) 랩탑 : 노트북 등 랩탑 시스템에 적합한 패키지 설치

 5) 가상 호스트 : 가상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패키지 설치

 6) Software Development Workstation

    - 소프트웨어 설치 시 필요한 다양한 도구들이 포함된 패키지 설치

    - 소스 컴파일 도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기 위해 선택

 7) 사용자 설정 시스템

    - 사용자 취향에 맞는 소프트웨어 선택 후 설치

 

파티션

 

1)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

2) 장점 

   - 파티션마다 독립적인 파일 시스템이 운영 -> 파일점검 시간 감소에 따른 부팅 시간 단축

   - 특정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파티션에 영향 x

 

3) 파티션 종류

주 파티션 * 부팅이 가능한 기본 파티션
*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최대 4개의 주 파티션 분할 가능 
확장 파티션 * 주 파티션 내에 생성,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
* 파티션 번호는 1 ~ 4번이 할당
* 데이터 저장 영역을 위한 것이 아니라 논리 파티션을 생성
논리 파티션 * 확장 파티션 안에 생성되는 파티션
* 논리 파티션은 12개 이상 생성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며 5번 이후의 번호가 붙여짐
스왑 파티션 *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영역
* 주 파티션 또는 논리 파티션에 생성 
* 스왑 영역의 크기는 메모리의 2배를 설정하도록 권고

다음 내용은 파티션의 상세 내용으로 구성될 예정

 

 

○ 내용 참고

 - 이기적 리눅스 마스터 2급

 

 

Comments